반응형
이 세상에 피는 모든 아름다운 꽃들은 자연속에서 마주하는 많은 역경속에서 피워냅니다. 우리 인생도 역경속에서 그 역경을 이겨내며 마침내 꽃을 피워낼 때 더 갚진게 아닐까 생각됩니다.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네번째 '불자의 서원과 마' 입니다.
■ 불자의 서원과 마
수행하는 데 마(魔) 없기를 바라지 말라. 입행불구무마(立行不求無魔)
수행하는 데 마가 없으면 행무마즉(行無魔卽)
서원이 견고해지지 못하고 서원불견(誓願不堅)
서원이 견고하지 못하면 반드시 원불견필(願不堅必)
증득하지 못하고도 증득했다 하느니라. 미증위증(未證謂證)
마가 허망한 것임을 꿰뚫어 보고 달마망유(達魔妄有)
마 자체에 뿌리가 없다는 것을 사무쳐 알면 구마무근(究魔無根)
마가 어찌 나를 괴롭힐 수 있으리. 마하능요(魔何能嬈)
그러므로 대 성인이 시고대성화인
'마로써 수행을 돕는 벗을 삼으라' 하셨느니라. 이군마장위법소려(以群魔障爲法逍侶)
★ 보왕삼매론의 세번째 '마음공부와 장애' 입니다.
[역경을 즐기는 방법]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3.(장애)
즐겁게 살아가는 순간에도 어쩌면 그 순간이 나에게는 역경일 수도 있으나 오랜 공부를 통해 그 역경을 즐기게 되어 웃음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3. '장애' 입니다.
ostornados.com

반응형
'보왕삼매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역경을 즐기는 방법]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3.(장애) (0) | 2024.06.19 |
---|---|
[역경을 딛고 나아가자] 하루한편 보왕삼매론 2. (고난) (0) | 2024.06.15 |
[역경속에 찾는 가치]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1(병고) (0) | 2024.06.14 |